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착한 소비, 풀무원의 MSC·ASC 인증 수산물
수산자원 고갈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MSC, ASC 인증제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해 MSC, ASC 인증제품 전세계 늘어나 풀무원 올가홀푸드, ASC 인증 수산물 국내 유통사 최초 취급 한국은 수산물 소비 강국이다. 한국이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2013~2015년 기준/세계수산양식현황) 세계 1위를 차지할 만큼 수산물 사랑은 대단하다. 반면, 해양 생태계에 대한 관심은 크지 않은 편이다. 현재 해양 생태계는 오염 물질, 기후 변화, 남획(자원량의 변동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많이 잡는 일)혼획(본래 목적이 아닌 종이 섞여 잡히는 일) 등 복합적인 원인으로 미래 수산 자원 확보에 적신호가 켜진 상황이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의 전 세계 수산자원 상태에 대한 자료(2018년)에 따르면, 33.1%는 적정수준보다 더 많이 어획된 상태, 59.9%는 최대한으로 이용 가능한 수준에 도달한 상태, 7.0%만이 미개발 상태다.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듯 수산자원의 고갈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닌, 우리에게 곧 닥칠 문제다. 해양 생태계 위협 요소로부터 벗어나, 수산자원의 고갈을 막기 위한 국제적 노력도 다방면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중 수산자원의 감소를 예방하고, 해양 생태계를 건강하게 유지하며, 지속 가능한 수산물 공급을 가능케 하기 위해 등장한 인증 제도가 있다. MSC 인증과 ASC 인증이다.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라벨, MSCASC 인증라벨 MSCASC 인증은 약 10년 전부터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확산되었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글로브스캔(GlobeScan)의 조사에 따르면(2018년) 미래 세대를 위해 수산물을 보호해야 한다고 답한 소비자의 비율은 81%이며,MSC인증을 신뢰한다는 소비자는 65%에 달한다. 이러한 인식은 최근 아시아와 남미 국가 등에도 확산되고 있다. 그렇다면 지속가능한 수산물 인증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MSCASC 인증은 무엇인가? MSC는 1997년 WWF(World Wide Fund for Nature, 세계자연기금)와 수산식품 유통업체인 유니레버(Unilever)가 함께 만든 비영리기구다. 지속가능한 어업(무분별한 어획을 막고, 수산 자원이 지속적으로 생산되도록 유지하는 어업)방식으로 수산물 생산이 확인된 기업만이 MSC 인증을 받고 MSC라벨을 부착할 수 있다. MSC 인증이 지속가능한 어업에 부여하는 인증이라면, ASC인증은 지속가능한 양식업에 부여하는 인증이다. ASC는 2010년 세계자연기금(WWF)과 네덜란드 지속가능한무역(IDH)에서 함께 설립한 국제협의회다. 무분별한 수산양식으로 인한 해양오염을 방지하고 지속가능한 양식어업을 위해 만들어졌다. ASC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양식장 주변 바다 환경을 깨끗하게 관리유지해야 하고 사료, 수질, 항생제 사용 여부는 물론 노동자 권리에 관한 기준 등 엄격한 심사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2019년 3월 기준으로 전 세계 어획량 중 16%가 MSC 인증 받은 수산물이다. 41개국 약 400곳에 MSC 인증 어업이 이뤄지고 있고, 500여 개의 MSC 관리 연속성(CoC : Chain of Custody : 인증 상품이 공급 과정 단계에서 인증 받지 않은 제품과 섞이지 않은 것을 증명하는 것)인증 기업이 있다. 2019년 5월 기준, 전세계 ASC 인증 양식장은 936개이며, 17,100여 개의 인증 상품이 있다. 이렇듯, MSCASC 인증제는 수산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며 전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MSCASC 인증 제도가 확산된다면 우리는 어떤 이점을 얻게 될까? 먼저, 어업활동을 들여다보자. MSC 인증 어업이 많아지면 남획 활동으로부터 멸종위기 어종과 서식지를 보호할 수 있다. 이력 추적제로 건강한 수산물 시장을 만드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다. ASC 인증은 어떨까? ASC 인증 제품의 가장 큰 장점은 안정적으로 건강한 수산물을 생산한다는 점이다. 사료, 수질, 항생제 사용 등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양식장 생산 수산물이기 때문에 친환경적이고, 항생제 부작용으로부터 안전하다. 즉 MSCASC 인증 제
...
2020년 11월 03일